java 84

[JAVA] JPA 연관관계 매핑( 양방향 )

양방향 연관관계 @OneToMany, @ManyToOne 을 예로 들 수 있다. 객체에는 양방향이 없다. ( 단방향 두개를 잘 묶어서 양방향인 것 처럼 보이게 할 뿐! ) 그럼 객체의 경우 단방향 두개 중 외래 키 관리를 누가 해야할까?? → 연관관계의 주인(Owner) 가 외래키를 관리! 양방향 연관관계 매핑의 규칙 객체의 두 관계 중 하나를 연관 관계의 주인으로 지정( 외래키 소유주를 주인으로 하는 걸 권장 ) 일대 다 기준에서 보통 '다' 쪽이 연관관계의 주인이다. 연관관계 주인만이 외래 키를 관리(등록, 수정) 한다. (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가능 ) 주인은 mappedBy 사용 불가 mappedBy 속성으로는 주인의 이름을 지정해준다. Member.java /* 연관관계 주인 */ packa..

JAVA 2021.11.17

[JAVA] JPA 기본키 매핑

직접 할당 : @Id 자동생성 : @GeneratedValue @GeneratedValue 의 종류 1. IDENTITY 기본 키 생성은 데이터 베이스에 위임해줌 Mysql 의 auto_increment와 기능이 같다. 주로 Mysql , postgreSQL, sql server, DB2에서 사용 identity는 null이 DB에 날라오면 그때 ID 값을 생성하여 DB에 삽입해준다. 제약이 생김 : DB에 넣을때 까지 키 값을 모르기 때문에 1차 캐시에 넣어줄 수가 없다. 따라서 identity만 예외적으로 commit 하기 전 persist 에서 DB에 쿼리를 날려준다.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JAVA 2021.11.11

[JAVA] JPA 필드와 컬럼 매핑

요구사항 회원은 일반회원과 관리자로 구분해야 한다. 회원 가입일과 수정일이 있어야 한다. 회원을 설명할 수 있는 필드가 있어야 한다. 이때 필드의 길이는 제한이 없다. 매핑 어노테이션 정리 1. @Column - name : 필드와 매핑할 테이블의 컬럼 이름 ( default = 객체의 필드 이름 ) - insertable, updatable : 등록, 변경 가능 여부 ( default = true ) // 수정 불가능 하게 하고 싶을 때 @Column(name = "name", updatable = false) private String username; - nullable(DDL) : null 값의 허용 여부 , false 시 not null 제약조건 붙음 - unique(DDL) : @Table 의..

JAVA 2021.11.10

[JAVA] JPA 엔티티 매핑 + DB 스키마 자동생성

@Entity @Entity가 붙은 클래스는 JPA가 관리한다.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클래스는 @Entity 가 필수이다. ※ 주의사항 1. 기본 생성자가 필수이다. (파라미터가 없는 public 또는 protected 생성자) 2. final 클래스, enum, interface, inner 클래스 사용하지 않는다. 3. 저장할 필드에도 final을 사용하지 않는다. 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Id; // Entity 이름은 기본으로 클래스 명으로 들어감 바꾸려면 -> Entity(name='test') // @Table(name = "MBR") 으로 테이블명을 바꿀수 있음 @Ent..

JAVA 2021.11.10

[JAVA] JPA 준영속 상태

준영속 상태 란? 영속 상태의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detached) 된 것 영속성 컨텍스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 준영속 상태로 만드는 방법 em.detach(entity) : 특정 엔티티만 준영속 상태 전환 em.clear() : 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초기화 em.close() : 영속성 컨텍스트를 종료함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50L); member.setName("AAAAAAAAAA"); // 원래 같으면 find 에서 select후 setName에서 update쿼리가 생성되야하는데 // detach 선언으로 준영속상태가 되어 영속성 컨텍스트 기능을 상실 // 따라서 update는 실행되지 않는다. em.detach(mem..

JAVA 2021.11.09

[JAVA] JPA 플러시(flush)

플러시 발생 변경감지 수정된 엔티티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DB에 전송( 등록, 수정, 삭제 쿼리 ) 보통 transaction.commit과 동시에 쿼리를 DB에 날리는데 내가 쿼리를 미리 보고싶거나, DB에 먼저 넣고 싶을때 사용! 아래 예시를 보면 commit이 실행되기 전에 insert문이 먼저 실행된다. Member member = new Member(200L, "member200"); em.persist(member); em.flush(); System.out.println("======================="); tx.commit(); // commit을 실행하면서 쿼리를 DB에 날림 ★ JPQL 쿼리 실행 시에는 플러시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JAVA 2021.11.09

[JAVA] JPA 영속성 관리

영속성 컨텍스트란?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엔티티를 연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영속성 컨텐스트는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EntityManager를 통해 접근한다. // DB에 저장하는게 아닌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라는 곳에 저장하는것 EntityManager.persist(entity); 1. 비영속 상태 : JPA와 관련없음(EntityManager와 상관없음 + 사용하지않음) // 비영속 상태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100L); member.setName("HelloJPA"); 2. 영속 상태 : EntityManager 사용 시점부터 영속 상태에 들어감 → 영속성 컨텍스트에 들어감 // 영속 상태 em.persist(me..

JAVA 2021.11.09

[JAVA] JPA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의 구동방식을 아래 이미지로 보고 시작하자! 1. EntityManagerFactory 데이터베이스당 하나만 생성하여 전체에서 공유하여 사용해야 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name은 persistence.xml의 unit name 이다. 2. EntityManager EntityManager는 다른 쓰레드들과 공유하면 안된다. ( Connection과 같다고 보면됨 / conn도 쓰고 close로 버리는것 처럼 얘도 close가 필수다! ) 모든 DB 접근은 Manager를 거쳐야한다. 3. EntityTransaction DB에 삽입, 수정 등 이용할 때 트랜잭션 받아와서 사용하는게 필수! JPA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랙잭션 안에서 수행한다. ( 조회-select 는 예외 일 수 있음 ) 4. JP..

JAVA 2021.11.02

[JAVA] JPA 프로젝트 생성(Maven) + 기본설정

※ 오늘부터 인프런에서 강의를 진행중이신 김영한 강사님의 JPA 기본편을 들으면서 하나씩 정리하려고 한다. Java version : 11 DB : H2 (1.4.199) 프로젝트를 생성하기에 앞서 하나만 짚고 넘어가자! JPA는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어 있지 않다. 이말인 즉슨 만약 DB를 Mysql 에서 Oracle로 변경하면 기존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수정해야할 부분이 많았지만 JPA는 이러한 부분에서 알아서 변형해서 사용한다!! 이 점을 참고하여 아래 persistence.xml 설정 중 Dialect를 참고하자! 1. 프로젝트 생성 intellij > File > New > Project > Maven 선택 + 이름 설정 후 Finish! 2. pom.xml에 dependencies 추..

JAVA 2021.11.02

[JAVA] JPA란?

JPA를 알아보기 전에 ORM을 먼저 집고 넘어가자! 1. ORM 이란? : 객체와 관계형 DB(RDBMS)를 매핑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객체는 ORM을 이용하여 DB에 접근 한다.( 적절한 SQL을 생성하여 DB에 객체를 저장해준다. ) 2. JPA 란? : ORM 기술을 구현한 프레임 워크에 대한 표준화 혹은 기준을 의미한다 ORM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프레임워크들이 등장하였는데 각각의 프레임 워크들(Hibernate, CoCobase 등) 은 같은 기능을 해도 각각 필드와 메소드들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기준을 정해 하나로 통합해주는 것이 JPA 이다. 예를들어, 같은 기능을 정의 하는 메소드가 Hibernate에서는 function dog() , CoCoBase에서는 fu..

JAVA 20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