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6

[JAVA] Querydsl 설정

Querydsl build.gradle 작성 시 유의사항 보통 요즘은 spring boot 2.6 이상 이기 때문에 Querydsl을 5.0을 사용한다. 또한 2.6 이상부터는 다음과 같은 부분을 확인해야 한다. build.gradle 설정 변경 PageableExecutionUtils Deprecated(향후 미지원) 패키지 변경 Querydsl fetchResults() , fetchCount() Deprecated(향후 미지원) build.gradle 설정 방법 buildscript { ext { queryDslVersion = "5.0.0" } }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3' id 'io.spring.dependency-man..

JAVA 2022.03.03

[JAVA] web 확장 - 페이징과 정렬

Spring data가 제공하는 페이징과 정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GetMapping("/members") public Page list(@PageableDefault(size = 5, sort = "id") Pageable pageable){ // 만약 page를 1 부터 시작하고 싶다면? -> 기본이 0 // 아래 처럼 구현체를 새로 만들어 다른 클래스로 넘겨주면됨 // PageRequest request = PageRequest.of(1, 2); // new MemberDto(member); 를 메소드 레퍼런스를 써서 저렇게 변경 가능 return memberRepository.findAll(pageable) .map(MemberDto::new); } 또한 파라미터로 Pageable을 받을 ..

JAVA 2022.03.03

[JAVA] Auditing

엔티티를 생성, 변경할 때 변경한 사람과 시간을 추적하고 싶으면? 등록일/수정일 , 등록자/수정자를 등록시켜주자! MainApplication에 @EnableJpaAuditing Annotation 추가 한다. BaseEntity에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추가 아래와 같이 작성 가능하다.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MappedSuperclass @Getter public class BaseEntity{ @CreatedDate @Column(updatable = false)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Date; @LastModifiedDate private Loc..

JAVA 2022.02.24

[JAVA] 벌크성 수정 쿼리와 @EntityGraph

Bulk 벌크(bulk) 연산은 중간에 update 쿼리를 날려버린다.( 영속성 컨텍스트 모르게 ) , 따라서 벌크연산을 진행하면 DB에는 반영이 되어있지만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반영이 되어있지 X 그래서 벌크연산 후 영속성 컨텍스트를 clear 해주지 않으면 업데이트 되지 않은 값이 출력된다. → 매우 불편!! 이때 매번 clear를 해줄 수 없으니까 annotation을 사용해보자! → @Modifying 벌크성 수정, 삭제 쿼리는 @Modify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으면 예외 발생(Not supported for DML operations....) 벌크연산을 사용해도 fetch와 똑같이 한방쿼리가 실행됨 // 벌크연산 사용 @Modifying @Query("update Member ..

JAVA 2022.02.23

[JAVA] Spring data JPA 페이징과 정렬

페이징과 정렬 파라미터 Sort : 정렬 기능 Pageable : 페이징 기능( 내부 Sort 포함 ) 특별한 반환 타입 1. Page : 추가 count 쿼리 결과를 포함하는 페이징 → 일반적인 페이징 2. Slice : 추가 count 쿼리 없이 다음 페이지만 확인가능 → 스크롤 내리다 더보기 버튼 생성 하는 페이징 3. List : 추가 count 쿼리 없이 결과만 반환한다. ※ 여기서 count는 total count를 의미 Page findByAge(int age, Pageable pageable); @Test public void paging()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member1", 10)); memberR..

JAVA 2022.02.17

[JAVA] return type(Optional)

spring jpa는 유연한 반환 타입을 지원한다. 1. Collection(List)로 반환 : List 및 Collection은 데이터가 없어도 절대 null 이 뜨지 않는다. empty 컬렉션이 반환이 된다. → size 0으로 찍힘(null 처리 따로 안해줘도됨) List findListByUsername(String username); // 컬렉션 /*-------------------------------------------------------*/ // Test Code @Test public void returnType() throws Exception{ //given Member m1 = new Member("AAA", 10); Member m2 = new Member("BBB", 20..

JAVA 2022.02.16

[JAVA] @Query에서 DTO로 조회하기

repository에서 dto로 조회하려면 new operation을 사용해야한다. 1. 일단 내가 필요한 데이터 들을 뽑아 Dto로 생성 package study.datajpa.dto; import lombok.Data; @Data // getter, setter 다 쓰임 웬만하면 사용 X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teamName; public MemberDto(Long id, String username, String teamName) { this.id = id; this.username = username; this.teamName = teamName; } } 2. @Query와..

JAVA 2022.02.15

[JAVA] @NamedQuery 와 @Query

@NamedQuery - 장점 NamedQuery는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점에 버그를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무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 단점 파싱이 안된다. 기능을 호출 하기 전까지는 버그를 잡을 수 없다. @Query 애플리케이션 로딩 전에 쿼리를 다 sql로 파싱해서 만들어 둔다. → 그렇다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전에 버그를 잡을 수 있다. @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username = :username and m.age = :age") List findUser(@Param("username") String username, @Param("age") int age); @Query("select m.username from Member m") Lis..

JAVA 2022.02.15

[Swift] var 와 let , method , 타입추론

swift 변수와 상수 valuable → var ( 변수 ): var value = 0 : 나중에 수정이 자유롭게 가능한 변수에 사용 constant → let ( 상수 ): let value = 0 : 수정이 불가한 변수에 사용 💡 실무에서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let 사용을 권장한다.(수정이 필요한 부분은 나중에 var로 수정) Int 와 UInt UInt는 0와 양수만 표현할 수 있는 정수형 타입 Int는 음수와 양수를 모두 포함한 정수형 타입 method 작성 중복되는 코드가 존재 할 시 method로 뽑아낸다 함수 반환 타입은 → 으로 지정, 이때 method( 함수 )는 func 으로 선언 // 메소드 호출 refresh() //파라미터가 있는 메소드 호출 hello(name : ..

Swift 20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