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QL 2

[JAVA] JPA 플러시(flush)

플러시 발생 변경감지 수정된 엔티티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DB에 전송( 등록, 수정, 삭제 쿼리 ) 보통 transaction.commit과 동시에 쿼리를 DB에 날리는데 내가 쿼리를 미리 보고싶거나, DB에 먼저 넣고 싶을때 사용! 아래 예시를 보면 commit이 실행되기 전에 insert문이 먼저 실행된다. Member member = new Member(200L, "member200"); em.persist(member); em.flush(); System.out.println("======================="); tx.commit(); // commit을 실행하면서 쿼리를 DB에 날림 ★ JPQL 쿼리 실행 시에는 플러시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JAVA 2021.11.09

[JAVA] JPA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의 구동방식을 아래 이미지로 보고 시작하자! 1. EntityManagerFactory 데이터베이스당 하나만 생성하여 전체에서 공유하여 사용해야 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name은 persistence.xml의 unit name 이다. 2. EntityManager EntityManager는 다른 쓰레드들과 공유하면 안된다. ( Connection과 같다고 보면됨 / conn도 쓰고 close로 버리는것 처럼 얘도 close가 필수다! ) 모든 DB 접근은 Manager를 거쳐야한다. 3. EntityTransaction DB에 삽입, 수정 등 이용할 때 트랜잭션 받아와서 사용하는게 필수! JPA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랙잭션 안에서 수행한다. ( 조회-select 는 예외 일 수 있음 ) 4. JP..

JAVA 2021.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