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2

Stateful, Stateless

stateful(상태유지)과 stateless(무상태) 의 차이 : Http 특징 중 하나는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을 유지한다. 상태유지 :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면 안된다. (다른 서버로 바뀌면 안됨) →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뀔 때 상태 정보를 다른 점원에게 미리 알려줘야함 무상태 :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어도 됨 갑자기 고객이 증가해도 점원을 대거 투입 가능 갑자기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 가능 무상태는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수 있다. → 무한한 서버 증설 가능 상태 유지는 중간에 서버가 장애가 나면 클라이언트가 처음부터 다시 요청 해야함 (서버가 상태를 보관해서 생기는 문제) 무상태는 요청에 상태를 담아서 보내기 때문에 서버에 따로 상태를 보관하지 않는다...

참고사항 2023.01.10

[JAVA] JPA 준영속 상태

준영속 상태 란? 영속 상태의 엔티티가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분리(detached) 된 것 영속성 컨텍스트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 준영속 상태로 만드는 방법 em.detach(entity) : 특정 엔티티만 준영속 상태 전환 em.clear() : 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초기화 em.close() : 영속성 컨텍스트를 종료함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150L); member.setName("AAAAAAAAAA"); // 원래 같으면 find 에서 select후 setName에서 update쿼리가 생성되야하는데 // detach 선언으로 준영속상태가 되어 영속성 컨텍스트 기능을 상실 // 따라서 update는 실행되지 않는다. em.detach(mem..

JAVA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