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과 사용 이유

응디 2022. 10. 31. 17:54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 시 아래 url 주소에서 생성

https://start.spring.io/

 

이때 spring boot 버전을 고를수 있는데 버전 옆에 snapshot 이 붙은건 아직 만들고 있는 단계,

m1 이런건 정식 릴리즈가 되지 않은 단계, 아무것도 안붙어있는게 정식 릴리즈 된것

 

웬만하면 정식 릴리즈된 버전을 선택하자!

여기서 사용되는 gradle은 버전 설정하고 라이브러리를 땡겨오는 역할이라는 정도만 이해!

 

dependencies를 선택하고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폴더 설명

  • .idea : intellij가 사용하는 설정 파일
  • gradle/wrapper/ : gradle과 관련된 폴더

preference 에서 gradle 검색!

  • 아래 설정을 gradle에서 intellij 로 바꾸면 intellij가 gradle을 통하지 않고 바로 java를 띄우기 때문에 build가 빠르다.


spring boot 사용이유

과거 spring 프레임 워크 사용 시절에는 xml 설정에 외장톰캣인 war 파일을 만들어서 배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 spring boot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줌

  • 자주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들의 버전 관리 자동화 : 기존에는 직접 버전을 지정해줬어야함 but, boot는 버전 명시 안해도 알아서 적합한 라이브러리 버전을 찾아서 옴
  • AutoConfig로 복잡한 설정 자동화 : 다양한 공통적인 설정들이 필요한 부분들을 자동으로 구성해준다. 따라서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시 별도의 설정없이 서버를 바로 띄울수있다.( 외부 라이브러리들도 자동설정 가능 )
  • 내장 웹서버 제공 : spring boot는 내장 웹서버(톰캣 or 리액터 네티)를 가지고 있어서 별도의 작업 없이 빠르게 서버를 실행 할 수 있다.
  • 실행 가능한 jar로 개발 가능 : spring boot는 순수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처럼 jar로 실행 가능하다. 이러한 부분은 실행에 상당한 편리성을 제공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brew mysql 설치  (0) 2022.12.07
JWT  (2) 2022.11.30
google oauth  (0) 2022.10.06
LocalDate 와 LocalTime  (0) 2022.08.25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DB 구분  (0) 2022.08.18